본문으로 바로가기

WEBDIR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개발자모드 ON, 부스터 디자인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구글 드라이브의 임시파일 _MEIXXXXX

윈도우를 한참을 사용하다 어느날 C드라이브의 폴더를 들여다보는데 _MEI42762 와 비슷한 여러개의 폴더가 생성되어 있었다. 패턴을 보니 하루에 하나씩 폴더는 늘어가고 있었는데 가끔씩 생겨나는 임시파일이나 시스템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윈도우 업데이트 파일 부산물이랑은 달라 보였다. 구글링을 해보니 윈도우 시작시 Google Drive에 의해 생겨나는 임시폴더임을 알게 되었다. 현재 이 폴더들은 C:\ 에 생겨나고 있고 Google Drive의 버그로 보고되어 있나 보다. 하지만 아직 별다른 대책은 없고 Google Drive를 자동시작하게 하지 않고 필요할때만 로그인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종료하고를 반복해야 하나 보다. 임시폴더들은 Google Drive를 종료하고 모두 삭제가 가능하다.

윈도우즈/Windows 일반 2013. 11. 29. 02:34

리눅스 문자셋(charset) 설정

문자셋 설정하는 방법을 한데 모아 보았습니다. 우선순위에 유념하여 설정하길 바랍니다. 문자셋 우선순위 아파치 웹서버 설정파일에 문자셋을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HTML 문서등을 작성할때 문자셋을 지정하면 이 값이 다른 값보다 우선시된다. php 설정에서도 기본 문자셋을 지정할 수 있다. 서버에서 문자셋 설정하기 Apache 웹서버 UTF-8 설정 httpd.conf 에 추가하면 되는데 리눅스 배포판 별로 다르다. AddDefaultCharset UTF-8 PHP UTF-8 설정 php.ini 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 한다. [PHP] default_charset = "UTF-8" output_handler = mb_output_handler [mbstring] mbstring.language = UTF-..

리눅스/Linux 일반 2013. 11. 24. 16:35

리눅스 표준 입출력 리다이렉션

쉘에서 키보드로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표준 입력(Standard Inupt)이라 하며, 키보드로 입력 받은 명령의 실행결과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것을 표준 출력(Standard Outpu)이라고 합니다. 입출력 리다이렉션 쉘에서 명령의 결과를 모니터로 출력하지 않고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데 이때 리다이렉션을 사용한다.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출력과 입력의 방향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리다이렉션 기호 방향 의미 > 표준 출력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 >> 표준 출력(추가)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기존 파일 데이터에 추가 & 파일명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출력 명령 >>& 파일명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덧붙여 출력 명령 >!..

리눅스/Linux 일반 2013. 11. 17. 04:43

[Ubuntu] 우분투 Ajaxploer(pydio) 설치

Ajaxploer는 웹하드, FTP, 클라우드, 로컬 디스크 연결 및 삼바 연결등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소를 연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현재는 이름이 변경되어 pydio로 불립니다. 설치전에 APM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MySQL DB생성 및 사용자 추가 pydio는 꼭 SQL 서버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약 50여명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나의 경우에 우분투 시스템에 다른 사용자를 추가하지 않기때문에 MySQL을 사용하여 새로운 사용자들을 추가해야 한다. MySQL 접속 mysql -u root -p Ajaxploer DB 생성 CREATE DATABASE ajaxploer; DB 사용자 추가 및 패스워드 설정($password에 원..

리눅스/Ubuntu 2013. 11. 12. 05:51

윈도우 Beta, RC, RTM 용어

이 글은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접하게 되는 용어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윈도우를 비롯한 여타 다른 소프트웨어들도 비슷한 명명법을 사용하니 이 참에 알아두도록 합시다. Beta 제품을 출시전에 해당 제품내 포함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대부분의 기술을 탑재하고 사용자들에게 테스트를 하는 단계 RC (Release Candidates) 이후 테스팅을 거쳐 나온 버그, 피드백, 건의 사항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다시 한번 공개하는 버전, 즉 출시 후보. 서버군의 제품에서는 RC2 와 같이 정식 릴리즈 이후에도 계속 수정이 이루어진다. RTM (Release to Manufacturing) 공장 출시 버전으로 이 제품이 상용화가 되어 배포되는 버전이다. RTM을 DVD 미디어에 찍어서 패킹한 후, 시장으로 내보내면 그 ..

윈도우즈/Windows 일반 2013. 10. 3. 04:38

워드프레스 Permalink - 고유주소 설정

워드프레스에는 permailink(고유주소)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는 사이트의 SEO(검색엔진최적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부분으로 근래의 대부분의 CMS 툴에서는 이를 기본으로 합니다. Permalink란 무엇인가? 사이트의 주소창에 보면 http://exampl.com/?p=12 와 같이 보여지는 의미를 알수 없는 문자(파라미터)들을 발견하곤 한다. 이것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 저장된 글을 불러오는 형식이지만 이는 기계가 이해하는 언어이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 인간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 그 뜻을 명확히 해야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등장하게 된 것이 permalink이다. http://example.com/how-to-wordpress-install 과 ..

워드프레스/WP 팁&테크 2013. 9. 27. 06:52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워드프레스 설정

워드프레스를 위한 엔진엑스 환경설정의 간단한 예입니다. 워드프레스 설정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blog.uzuro.com root /var/www/blog.uzuro.com/public_html; location / { try_files $uri $uri/ /index.php?$args; index index.php } # 워드프레스를 서브폴더를 이용해서 서비스하는 경우에 추가 location /wordpress/ { try_files $uri $uri/ /wordpress/index.php?$args; } location ~* \.(?:ico|css|js|gif|jpe?g|png)$ { # 정적 파일에 대한 몇가지 기본적인 캐쉬 제어 expires max; add_he..

리눅스/Ubuntu 2013. 9. 21. 00:43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보안 설정

NGINX(엔진엑스)를 사용하면서 고려할 보안사항을 알아 봅니다. 클린URL을 이용한 비정상적인 접근 제한 php.ini 파일의 cgi.fix_pathinfo의 값이 1일 경우, http://localhost/bad.hack/aa.php와 같이 비정상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 bad.hack을 서버에서 읽어들여 보안상 위험한 일을 초래한다. sudo vi /etc/php5/fpm/php.ini cgi.fix_pathinfo=0

리눅스/Ubuntu 2013. 9. 20. 01:30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가상호스트 설정

아래의 내용은 웹호스팅을 위한 가상호스트 설정은 아닙니다. 그저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웹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이며 웹호스팅을 위해서는 디렉토리 권한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가상호스트 구조 가상호스트를 위한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 웹루트 : /var/www/도메인명/public_html 웹로그 : /var/www/도메인명/logs 가상호스트 설정 : /usr/local/nginx/sites-enabled/도메인명.conf 가상호스트 디렉토리 생성 가상호스트 사용을 위한 웹루트 디렉토리들을 생성한다. sudo mkdir -p /var/www/example.com/public_html sudo mkdir /var/www/example.com/logs 생성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 sudo chown -R ww..

리눅스/Ubuntu 2013. 9. 20. 01:00

[Ubuntu] 우분투 NGINX - PHP - MySQL

NGINX(엔진엑스)를 PHP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PHP-FPM(PHP FastCGI Process Manager)를 이용해야 합니다. PHP-FPM은 PHP 5.4RC부터는 PHP에 기본 내장되어 있고 그 이전 버전에서는 따로 설치를 해야 합니다.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PHP-FPM 설치 우분투 12.04에서 php를 apt-get을 이용해 설치를 진행한다면 php 5.3.10 버전(2013/09/15 기준)이 설치된다. PHP-FPM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버전이니 이를 설치해야 한다. php-fpm 설치시 의존성으로 php5가 설치된다. sudo apt-get install php5-fpm php5 모듈 설치 sudo ap..

리눅스/Ubuntu 2013. 9. 20. 00:30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Configure 옵션

NGINX를 컴파일할때 추가/제거 할 수 있는 모듈들을 살펴봅니다. Configure 경로 설정 경로 설정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전체 목록 스위치 사용법 기본 값 --prefix=... 엔진엑스가 설치되는 기본 폴더 /usr/local/nginx 유의사항: 다른 스위치의 설정에 사용된 모든 상대 경로는 기본 폴더 밑에 연결된다. --sbin-path=... 엔진엑스 바이너리 파일이 설치되는 경로 /sbin/nginx --conf-path=... 주 환경 설정 파일의 경로 /conf/nginx.conf --error-log-path=... 에러 로그 파일의 위치. 에러 로그 경로는 환경 설정 파일안에서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로는 환경 설정 파일에서 아무런 에러 로그 지시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

리눅스/Ubuntu 2013. 9. 20. 00:10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설치

NGINX는 근래에 경량화 웹서버로서 부각 받고 있는 웹서버입니다. 아래에서 apt-get을 이용한 패키지 설치와 소스 컴파일 설치 방법을 알아봅니다. 유행에 따라 엔진엑스를 설치하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한번쯤은 고사해보길 권한다. 엔진엑스는 현재까지는 실시간 환경 설정 변경이 안되고 .htaccess 파일이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엔진엑스가 가진 제약점을 잘 파악하고 그를 대체할수 있을지도 의문을 가져보아야 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동접수가 많은 사이트를 운영중이라면 아파치보다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HOME http://nginx.org/ NGINX 패키지 설치 우분투에서 패키지를 이용해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패키지 저장소 추가 버전별 알맞은 내용을 /etc/ap..

리눅스/Ubuntu 2013. 9. 20. 00:00

리눅스 파일 보안

파일의 퍼미션을 777로 설정하게 되면 모든 계정 사용자들이 그 파일에 접근할 권한을 주게된다. 만약 root 소유주로 작동하는 파일에 퍼미션을 777을 부여했다면 이는 시스템을 파괴하는 열쇠를 쥐어주는 꼴이다. UMASK 값 일반적으로 umask는 기본값으로 022를 가지나 우분투의 경우는 002의 값이 기본값이다. 웹서버와 관련된 계정의 경우에는 간혹 웹서버의 소유권한과 폴더 및 파일에 대한 퍼미션을 777 혹은 666을 요구하곤 한다. 우분투의 경우에는 www-data라는 소유권한으로 아파치의 데몬이 작동하고 웹서버의 폴더와 파일은 www-data가 소유주로 775 정도의 소유권이 적당하다. www-data의 그룹에 웹서버 계정의 사용자를 추가하여 SFTP 접속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것도 잊지 말아..

리눅스/Linux 일반 2013. 9. 13. 10:49

nano - 유닉스 에디터

나노(nano) 에디터는 쉬운 사용법이 장점인 유닉스 에디터이다. 단축키 설명저장 : Ctrl + O종료 : Ctrl + X찾기 : Ctrl + W찾고 바꾸기 : Ctrl + \블럭지정 : Ctrl + ^잘라내기 : Ctrl + K붙여넣기 : Ctrl + U 동영상 강좌http://opentutorials.org/course/128/3682 글 강좌https://www.linux.co.kr/home2/board/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1468&sca=11

개발도구/에디터 2013. 9. 13. 09:42

리눅스 파일과 사용 권한

파일의 접근에는 읽기, 쓰기, 실행의 세 가지가 있다. 각 접근 권한은 파일의 원 소유자, 파일 그룹, 다른 사용자에 대해 따로 정의할 수 있다. 디렉토리 사용 권한 디렉토리의 사용 권한은 일반 파일의 사용 권한과 다르다. x 비트 : cd 같은 명령을 사용해 폴더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음을 나타낸다. r 비트 : ls 같은 명령을 사용해 디렉토리 목록을 볼 수 있게 한다. w 비트 : 폴더 안에 새 파일을 생성할 수 있음.

리눅스/Linux 일반 2013. 9. 12. 02:43
  • 이전
  • 1
  • ···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
  • 30
  • 다음

사이드바

ABOUT

WEBDIR for Developer

NOTICE

  • 스킨 변경 및 배포
  • 리부트!! WEBDIR 개편 소식
  • 오픈!! WEBDIR 블로그 소개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AG

  • Command
  • element
  • HTML
  • html5
  • Linux
  • Utility
  • polyfill
  • CSS
  • JavaScript
  • Windows
  • Plugin
  • sublimetext
  • Wordpress
  • property
  • jQuery
  • app
  • ubuntu
  • Editor
  • CentOS
  • server
MORE+

LINK

  • 그렇고 그런 이야기
  • Life is an egg.
  • Codrops
  • Front-end Developer Ishaiin.

VISITOR

현재 실시간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WEBDIR, ALL RIGHT RESERVED.
WEBDIR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님의 블로그
MENU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