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atime, mtime, ctime - 접근시간, 변경시간, 수정시간 아이노드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중에는 파일과 관련된 세 가지 타임스탬프(timestamp), 즉 atime, ctime, mtime이 있다. atime (접근 시간) 파일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날짜와 시간.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시스템 호출을 사용해 파일을 읽을 때마다 파일 접근 시간이 갱신된다. 사용 예) 텍스트 편집기로 파일을 열어 내용에 접근했다. 파일 접근 시간이 갱신된다. vi hello.txt mtime (수정 시간)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 파일 내용이 변경될 때 파일 수정 시간이 갱신된다. 사용 예) 파일 데이터가 수정되어 파일 수정 시간과 파일 변겨이 시간 모두 갱신된다. echo "Hello~ World!" >> hello.txt ctime (변경 시간) 파일이 마지막으로..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
리눅스 특수 파일과 장치 리눅스 시스템에 존재하는 /dev 디렉토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다룹니다. /dev ?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장치 파일'을 위한 특별한 디렉토리인 /dev가 있다. 이 디렉토리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요소를 포함하며, 각 노드는 시스템의 한 장치를 나타낸다. 노드는 실제 하드웨어 장치일 수도 있고 가상(pseudo)장치일 수도 있는데, 어느 쪽이든 그것을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서 목록화한 목적은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와의 입출력 연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장치 타입 장치 파일명은 드라이버 타입에 따라 관례적으로 정해진 접두사와, 같은 타입의 장치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숫자나 문자 한 개로 구성한다. 가장 일반적인 장치 타입의 장치 파일 접두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보안 Apache의 기본적인 보안사항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Indexes 제거 지시자의 Options 값에 Indexes 값을 제거한다. 이는 디렉토리 구조와 파일리스트를 출력하게 되어 보안상 위태롭다. 많은 사이트들이 Apache를 웹서버로 사용하고 있으며, UNIX/Linux 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서버 스크립트는 PHP라고 할수 있다. 또한, 여기에 무료이면서 성능(특히 속도)이 뛰어난 DBMS인 MySQL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파치는 사용자가 많은 만큼, 버그가 빨리 발견되기 때문에 버그를 이용한 공격을 당하기 쉬운 단점도 있다. 아파치 및 php버전을 실제 버전과 다르게 표시한다면 해커들은 잘못된 버전의 취약점을 가지고 접근을 시도하게 되어 곤란하게 만들 수 있다 . [root@server..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
웹서비스를 위한 퍼미션 문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다가 config.php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쓰기 권한이 없어서)는 에러를 접하게 되곤 합니다. 대부분 이와 같은 경우, config.sample.php 파일을 복사해서 수정해서 쓰곤 합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에 궁금증이 생겨 이에 대해 파헤쳐 보기로 했습니다. 전반적인 문제 이 문제는 Apache와 PHP의 파일생성 권한과 연관되어 있다. Apache의 데몬실행 권한은 Apache 설정파일에 설정되어 있는데 우분투의 경우는 www-data이고 기타 다른 배포판에서는 nobody, 혹은 apache로 명명되어 있다(설명을 위해 우분투의 www-data를 기준으로 한다). 이말인즉, 서버에서 웹서비스를 구동할때 그 웹사이트를 구동하는 Owner(소유주)가 서버계정의 소유주가 ..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
Xftp 사용시 리모트에서 복사&붙여넣기 워드프레스 관련하여 설정을 준비하던 중... Xftp를 사용하여 리모트로 접속하고 필요파일을 다른폴더에 복사하려는 순간!! 붙여넣기가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 나는 넷사랑 홈페이지로 달려갔고 이에 관련하여 문의를 넣었다. 얼마후 돌아온 답변은 FTP나 SFTP상에서 원래 리모트에서 복사&붙여넣기가 불가능하다는 것. 그러니 로컬에 내려받은후 다시 원하는 리모트 폴더에 올리라는 것! 그러하다, 원래 관련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관련지식이 없다보니 오늘도 삽을 푼다~ 개발도구 12년 전
[Ubuntu] 우분투 OwnCloud 설치 ownCloud는 N드라이브나 다음클라우드와 같이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설서버에 설치하여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지만 스마트폰들도 지원하며 현존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거의 모든기능을 지원합니다. HOME http://owncloud.org/ DEMO http://demo.owncloud.org/index.php ownCloud 설치 준비 APM이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된다. ownCloud 설치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gd php-xml-parser php5-intl smbclient curl libcurl3 php5-curl Apache 모듈 활성화 sudo a2enmod rewrite sudo a2enmod headers Apache..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Google SMTP 메일서버 이용하기 - postfix 근래의 메일서버는 간단한 설정이 가능한 postfix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를 이용해 메일서버를 설치하고 구글의 SMTP를 이용해 메일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필요한 패키지 설치 메일 테스트를 위한 패키지 및 인증도구들 설치 일부는 이미 설치되어 있을수도... sudo apt-get install mailutils libsasl2-2 ca-certificates libsasl2-modules Postfix 메일서버 설치 설치중에 몇가지 선택할 수 있는데 Internet Site 선택, mail.example.com과 같이 자신의 도메인을 설정 sudo apt-get install postfix Postfix 설정 Postfix 설정 sudo vi /etc/postfix/main.cf 아래의 내.. 리눅스/Ubuntu 12년 전
도메인과 공유기 그리고 SSH 어제, 오늘에 걸쳐 Git 과 Gitolite 그리고 GitLab과 씨름을 했다.설치와 설정 과정이야 만만치 않더라도 중간 중간 에러를 발견해내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 먹었다. 그 에러가 설치 과정중의 에러라면 어떻게든 해결해 오고 있지만 그게 나의 개인적인 시스템 설정에 의한 것이라면 해결법을 찾는데 진땀을 뺀다. 리눅스의 /tmp 디렉토리에 대한 보안설정으로 인한 문제도 하나 발견했다. ( /tmp 디렉토리 외에 다른곳에 설치파일을 만들어 해결했다 ) 그리고 SSH 설정중에 보안을 위해 관리자 그룹만 로그인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던 부분도 Git 으로 접근하는 SSH에 문제가 되었다. ( AllowUsers 로 git 계정을 지정해 주어 해결했다 ) 오늘 마지막으로 나를 괴롭혔던 문제는 바로 도메인과 공유..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
[Ubuntu] 우분투 Git 클라이언트 설정 - Totoisgit, Msysgit 우분투(리눅스)를 클라이언트/데스크탑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Git을 설치하는 방법은 Git 서버구축시에 설치법과 같다. 저장소를 생성시에 --bare 옵션을 주느냐 안주느냐에 따라 로컬 Git과 리모트 Git으로 나뉠뿐이다. 우분투 Git 설치 우분투에서 Git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git-core 우분투 PPA를 이용한 최신 버전 설치 PPA를 사용할 때 쓰는 add-apt-repository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python-software-properties를 설치하고, 그래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software-properties-common을 설치하면 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git-core/ppa sudo apt-get upda..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GitLab 설치 Gitlab을 설치하여 웹상에서 레포지토리를 추가 제어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openssh-server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Git 최신버전 설치 우분투에서 git 설치시 1.7.9 버전이 설치된다. 최신버전을 사용하기위해서는 PPA를 사용해야 한다. PPA를 사용할 때 쓰는 add-apt-repository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python-software-properties를 설치하고, 그래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software-properties-common을 설치하면 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git-core/pp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Gitolite 두개의 Pub Key 사용하기 Gitolite 두개의 pub key 사용 gitolite 사용시 한명의 사용자가 2개의 machine에서 로그인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user id가 다르다면 문제 없겠지만 같을 경우 두개의 pub key 의 이름이 같아 gitolite에 추가가 불가능하다. 이때는 pub key의 file name을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keys folder에 저장하고 userid@pc1.pub userid@pc2.pub gitolite.conf 파일에서는 userid 의 퍼미션을 추가해 주면 된다. RW+ = userid 클라이언트에서는 한개의 key를 사용할 때와 달라지는 점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Git + Gitolite + Gitweb Gitolite는 Git Repository를 관리하는 툴입니다. 특이하게도 Gitolite 설정이 Git으로 관리되며, 관리자가 Clone한 Gitolite 설정에 SSH Key를 추가하거나, 설정 File을 변경하여 Server에 Push하는 동작을 통해 Git Repository에 해당 변경이 자동으로 적용되게 됩니다. 아래의 예제는 Apache(아파치)와 openssh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된다. Gitolite를 컨트롤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Git의 리모트 저장소로 운영되는 서버에서 Gitolite를 설치하며 gitolite-admin 저장소를 clone 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수정하고 이를 서버에 push하여 반영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Git 최신버전 설치 우분투 12...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Git 서버 구축 우분투에서 Git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협업환경을 구축하거나 로컬 저장소 이외의 백업저장소의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Git 서버를 구축하기전에 GitHub나 Gitlab등을 온라인으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고려해봐야 한다. 공개형 프로젝트라면 GitHub를 비공개형 프로젝트라면 GitLab을 사용하면 굳이 따로 서버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Git GitHub GitLab 서비스 유형 패키지/소스 설치 제공 온라인 서비스 패키지/소스/온라인 서비스 제공 온라인 서비스 제약 없음 비공개 프로젝트는 유료 저장소당 1Gb의 용량제한 아래에선 OpenSSH 서버가 설치되어 있고 프로토콜로 SSH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진행한다. Git 최신버전 설치 우분투 12.04.02에서 git 설치..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워드프레스 설치 이 글은 우분투에서 APM이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된 글입니다. 준비 사항 워드프레스 이미지 썸네일 생성시 gd 라이브러리가 필요 sudo apt-get install php5-gd mod_rewrite 활성화 sudo a2enmod rewrite 가상호스트 설정 하나의 사이트만을 운영할 경우에는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를 수정하고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원하는 VirtualHost를 생성후 수정한다.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 관리자 메일주소로 변경 ServerAdmin webmaster@localhost ServerName uzuro.com ServerAlias www.uzuro.com .. 리눅스/Ubuntu 12년 전
SSH Key 생성하기 인증에 사용되는 SSH Key 생성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윈도우에서 생성 msysgit을 이용한 방법 윈도우에서 Git 사용을 위해 msysgit을 사용중이라면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ssh-keygen -t rsa putty 를 이용한 방법 퍼티를 설치시 함께 설치되는 puttygen을 이용한다. 1.Generate 버튼을 누르고 키를 생성한다. 2.마우스를 이리저리 움직이면 키가 랜덤하게 생성한다. 3. Save private key 버튼으로 개인키를 저장한다. 4. Save public key 버튼으로 공개키도 저장한다. 5. 공개키를 저장소 관리자에게 보낸다. 6. 리모트 저장소로 Push할 경우 Setting 탭의 Remote 섹션에 개인키를 저장한 곳을 선택한다. xshell 을 이용한 .. 리눅스/Linux 일반 12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