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WEBDIR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개발자모드 ON, 부스터 디자인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로그관리 - rotatelogs, cronlog

Apache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로그관리는 logrotate입니다. 이것은 로그 순환을 위해서 실행중인 웹서버를 잠시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과 날짜별 세분화된 로그순환이 어렵기에 대체방안을 생각해봅니다. 로그를 파이프로 보내기 Apache 웹서버는 오류 로그와 접근 로그를 파일에 직접 쓰지않고 파이프를 통해 다른 프로세스로 보낼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서버에 코드를 추가하지않고도 매우 유연하게 로그를 처리할 수 있다. 로그를 파이프에 쓰기위해 파일명 자리에 파이프문자 |와 뒤에 표준입력으로 로그 항목을 읽을 실행파일명을 적으면 된다. Apache는 서버가 시작할때 파이프로 연결할 로그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서버가 실행되는 동안 프로세스가 죽으면 다시 시작한다(이 마지막 기능때문에 우리는 이 방법..

리눅스/Ubuntu 2013. 7. 31. 08:30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VirtualHost 예제 - 가상호스트

우분투 Apache의 VirtualHost(가상호스트)의 일례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DigitalOcean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몇가지 살을 붙여 작성하였습니다. VirtualHost(가상호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세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NameVirtualHost (이름기반 가상호스트)를 많이 사용한다. 우분투에서도 기본값으로 이름기반 가상호스트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다. 이름기반 가상호스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주호스트가 사라지게 되는데 우분투의 아파치 설정파일인 /etc/apache2/apache2.conf에 ServerName이나 DocumentRoot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이유가 이때문이다. 이름기반 호스트를 사용하게 되면 가장 첫번째로 등장하는 가상호스트설정을 주호스트로 인식하게..

리눅스/Ubuntu 2013. 7. 31. 08:00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이해

우분투는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들과 다른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데비안 계열의 특징인듯 싶습니다. 설정 디렉토리 구조 /etc/apache2 설정파일 루트위치로, 설정파일들이 이 디렉토리 밑에 위치하고 있다. /etc/apache2/apache2.conf 기본 설정파일로, 다른 배포판에서 httpd.conf를 기본 설정파일로 사용하고 있는데 우분투에서는 apache2.conf를 사용한다. /etc/apache2/conf.d 고급설정 파일로, 다른 배포판에서 httpd.conf 파일 하나에 설정되어 있던 문자셋과 에러메시지, 보안과 관련된 설정등을 따로 따로 분리하여 conf.d 디렉토리밑에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치하게 되는 Apache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설정파일들도 위치하게 된다. /..

리눅스/Ubuntu 2013. 7. 31. 08:00

[Ubuntu] 우분투 APM + phpMyadmin 설치

우분투에서 apt-get을 이용하여 APM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만일 소스설치 방법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링크들을 참고합시다.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627832&mid=lecture_tip Apache 설치 우분투 12.04 에서 현재 날짜 기준 버전 2.2.22 가 설치된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설치 확인 ifconfig eth0 | grep inet | awk '{ print $2 }' 위의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의 IP 주소를 출력한다. 웹브라우저에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후 "It's Works!" 라는 페이지가 뜨면 설치 성공 MySQL 설치 우분투 12.04 에서 현재 날짜 기준 ..

리눅스/Ubuntu 2013. 7. 31. 07:31

[Ubuntu] 우분투 PPA

일반적으로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 각종 패키지의 버전들은 최신의 것들이 아닙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PPA(Personal Package Archive)를 통해 최신 버전들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보다는 최신버전 사용이 먼저라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PPA 사용하기 저장소 추가하기 sudo add-apt-repository 저장소이름 PPA를 사용할 때 쓰는 add-apt-repository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python-software-properties를 설치하고, 그래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software-properties-common을 설치하면 된다. 저장소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설치 sudo apt-get in..

리눅스/Ubuntu 2013. 7. 31. 07:30

[Ubuntu] 우분투 시스템 온도체크 / 하드 온도 체크

우분투 시스템에서 온도체크를 위해 사용되는 패키지들을 설치해 봅니다. 얼마나 정확한지는 직접 실험해 보세요. lm-sensor (시스템 온도체크) lm-sensor는 cpu, system,fan speed,voltage 확인. 설치 sudo apt-get install lm-sensors 센서 검색 sudo sensors-detect 재시작한다 sudo service module-init-tools restart 온도 확인 sensors hddtemp (하드온도 측정) 일반적인 HDD의 경우, S.M.A.R.T 정보에 온도가 포함되기 때문에 htttemp를 사용하여 해당 HDD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sudo apt-get install hddtemp 설치시 외부에서 접속해서 온도확인이 가능하게 데몬..

리눅스/Ubuntu 2013. 7. 31. 07:25

[Ubuntu] 우분투 NTP 시간동기화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으로 NTP 와 rdate 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소수점까지 정확한 단위의 동기화가 필요하다면 NTP 를 이용해야 한다. NTP 시간동기화 NTP 설치 sudo apt-get install ntp NTP 설정 sudo vi /etc/ntp.conf server 1.kr.pool.ntp.org server 1.asia.pool.ntp.org server time.bora.net 기존의 서버목록을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원하는 서버목록을 사용(아래의 링크는 공식적인 서버목록) http://www.pool.ntp.org/ko/zone/kr NTP 재시작 sudo service ntp restart ntp 시간동기화 확인 sudo ntpq -p remote refid st t whe..

리눅스/Ubuntu 2013. 7. 31. 03:12

리눅스 clonezilla 사용법

리눅스에서 윈도우의 Ghost 같은 백업 프로그램을 찾다가 발견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아래에서는 간단히 삼바서버를 이용한 백업 방법에 대하여 기술합니다. Clonezilla 소개 Clonezilla는 GPL 라이선스의 디스크 복제 및 백업 소프트웨어로서, 디스크/파티션을 다른 로컬 디바이스로 복제하거나 복제 이미지를 외부 SSH/Samba/NFS 서버로 보낼 수 있다. 또한 DRBL(Diskless Remote Boot in Linux)에서 실행하여 거대 규모의 네트워크로 묶인 컴퓨터들을 동시에 복제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HOME http://clonezilla.org/ DOC http://www.fredshack.com/docs/clonezilla.html clonezilla의 samba s..

리눅스/Linux 일반 2013. 7. 30. 07:30

[Ubuntu] 우분투 vi , bash_history, alias 설정

여러가지 개인화된 설정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vi 설정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생성한다. vi .vimrc syn on set ai set nobackup set number set tabstop=4 set si set shiftwidth=4 .bash_history 설정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생성한다. vi .profile #Add timestamp to .bash_history HISTTIMEFORMAT="%F %T -- " export HISTTIMEFORMAT declare -r HISTFILE profile을 재시작한다. source .profile alias 설정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생성한다. vi .bashrc alias lsd='ls -la | grep "^d"' bash를 재시작한다. sour..

리눅스/Ubuntu 2013. 7. 30. 02:51

[Ubuntu] 우분투 방화벽(UFW) 설정

우분투의 기본적인 방화벽은 UFW입니다. 이는 iptables를 좀 더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간단한 방화벽 구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수준 높은 방화벽 구성에는 iptables 룰을 직접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 : 우분투 UFW help 가이드 UFW 사용법 UFW 기본 설정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UFW 활성화/비활성화 UFW는 기본 비활성화 상태이기에 이를 활성화 한다. sudo ufw enable UFW 비활성화 sudo ufw disable UFW 상태 확인 sudo ufw status verbose UFW 기본 룰 UFW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룰은 아래와 같다.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서는 전부 거부(deny) 나가는 패킷에 대해서는 전부 허가(allow) 기본 룰 확인 sudo ufw sh..

리눅스/Ubuntu 2013. 7. 30. 02:36

[Ubuntu] 우분투 ssh/rsa, sftp 설정

우분투 12.04 설치시 SSH를 설치했다면 바로 설정하면 된다. 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ssh-server ( 서버용이니 클라이언트는 필요없다. ) SSH 설정 sudo vi /etc/ssh/sshd_config # 포트설정 Port 22 # 자동로그인파일무시 IgnoreRhosts yes # root로그인금지 PermitRootLogin no # sudo(관리자)그룹만로그인가능( 다른유저들도 ssh로그인을 가능하게 하려면 이부분 삭제 ) AllowGroups sudo AllowGroups : 여기에 등록된 group만 접속 가능함 AllowUsers : 이곳에 등록된 계정만 접속 가능함 DenyGroups : 모두 접속이 허용, 여기에 등록된 g..

리눅스/Ubuntu 2013. 7. 29. 23:44

[Ubuntu] 우분투 /tmp 디렉토리 보안

/tmp 디렉토리는 웹사이트 운영시 사이트 방문자들이 업로드시에 이용되기도 합니다. 이때 /tmp 디렉토리를 따로 파티션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간혹 사용자들의 악의적인 코드로 인해 곤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를 애초에 방지하기 위해 /tmp 디렉토리를 OS 설치시 파티셔닝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간혹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tmp 디렉토리를 이용한 어떤 작업을 할때 아래와 같이 적용할 경우 오류를 접할 수도 있다. /tmp 디렉토리 보안설정 우선 기존의 /tmp 디렉토리를 백업한다. sudo cp -Rp /tmp /tmp-backup /tmp 파티션에 nodev,nosuid,noexec 를 추가한다. sudo vi /etc/fstab UUID=.... /tmp ext4 defaults,nodev,nosu..

리눅스/Ubuntu 2013. 7. 29. 23:10

[Ubuntu] 우분투 시스템 종료문제 해결하기

우분투 12.04에서 간혹 종료 명령어 halt 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hatl 명령어를 내렸을 경우는 기기의 전원 OFF를 기대하게 되는데 OS는 종료되도 컴퓨터 전원이 내려가지 않을 경우 halt 명령어 자체를 수정하여 컴퓨터 전원을 내릴수 있다. halt 명령어 수정 sudo vi /etc/default/halt INIT_HALT=poweroff 위와 같이 수정하고 다시 halt 명령을 내리면 컴퓨터 전원이 내려간다.

리눅스/Ubuntu 2013. 7. 29. 23:03

[Ubuntu] 우분투 저장소(repository) 변경하기

우분투의 기본 저장소는 한국에서는 카이스트쪽 서버로 접속되나 답답할 정도로 느리기 때문에 다음 저장소로 변경합니다. 다음 저장소 이용하기 우선 아래와 같이 파일을 연다. sudo vi /etc/apt/sources.list vi의 치환기능을 이용해 한번에 변경한다. :%s/kr.archive.ubuntu.com/ftp.daum.net/g 아래와 같이 기타 다른 저장소도 변경가능하다. :%s/security.ubuntu.com/ftp.daum.net/g :%s/extras.ubuntu.com/ftp.daum.net/g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를 실행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리눅스/Ubuntu 2013. 7. 29. 22:50

[Ubuntu] 우분투 네트워크 설정

우분투 12.04.02 버전에서 테스트 되었음 우분투 데스크탑 네트워크 설정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에서는 네트워크 매니저라는 패키지가 그 어떤 네트워크 설정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즉, /etc/resolv.conf 나 /etc/network/interfaces를 직접 수정하더라도 그것이 반영되지 않고 네트워크 매니저에 지정되어 있는 값이 적용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대쉬홈에서 network나 네트워크 로 검색해서 네트워크 도구를 찾아 실행하자. 유선에서 알려주는 값이 현재 지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관련 값들이다. 오른쪽 하단의 옵션을 클릭하면 유선 연결창이 뜬다. 유선 연결창의 IPv4 설정 탭을 선택하면 각종 값들을 제어할 수 있다. 방식(M) : DHCP(자동IP할당) / 수동(고정 IP) 등을..

리눅스/Ubuntu 2013. 7. 29. 00:48
  • 이전
  • 1
  • ···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
  • 30
  • 다음

사이드바

ABOUT

WEBDIR for Developer

NOTICE

  • 스킨 변경 및 배포
  • 리부트!! WEBDIR 개편 소식
  • 오픈!! WEBDIR 블로그 소개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AG

  • CentOS
  • ubuntu
  • html5
  • Windows
  • Utility
  • CSS
  • Command
  • jQuery
  • JavaScript
  • property
  • polyfill
  • app
  • element
  • Wordpress
  • sublimetext
  • Plugin
  • Linux
  • server
  • HTML
  • Editor
MORE+

LINK

  • 그렇고 그런 이야기
  • Life is an egg.
  • Codrops
  • Front-end Developer Ishaiin.

VISITOR

현재 실시간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WEBDIR, ALL RIGHT RESERVED.
WEBDIR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님의 블로그
MENU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