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WEBDIR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개발자모드 ON, 부스터 디자인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리눅스 find - 파일 검색

터미널과 같은 TUI모드에서 검색을 실행하는 건 여간 까다로운게 아닙니다. 쉽게 검색창에 검색어 넣으면 "짠~" 하고 보여주는 게 얼마나 고마운지 깨닭게 되죠^^; 아래에서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find find는 검색기능과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가진 명령어이다. 사용법 : find [검색대상위치] [옵션] [수행할작업] 용량이 0 인 비어있는 파일을 검색하는 것 find / -empty -exec ls -l {} \; 특정 소유자의 파일 찾고자 할때 find / -uid 500 -exec ls -l {} \; 특정 사용자의 소유파일들을 검색 find / -user nestgoer -print '-print' 는 검색결과를 파일의 절대경로로 표시하는 반면 '-exec ls -l \;' 는 l..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6. 02:12

리눅스 cmp, diff, diff3, comm - 파일 비교

파일을 비교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cmp, 그리고 보다 자세한 파일비교를 할 때에는 diff, 세개의 파일을 비교하려면 diff3을 이용합니다. 두파일에 대하여 각 행단위 비교를 할 때에는 comm을 이용합니다. cmp cmp는 compare 의 약어로서 두개의 파일이 어떤 부분이 다른가를 비교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두개의 파일을 단순히 같은가 다른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몇행의 몇번째 문자가 다른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두 파일이 동일한가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 주로 사용한다. 사용법 : cmp 파일명 비교할파일명 file1 과 file2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cat file1 girls generation cat file2 girls Generation 두 파일을 비교해본다. cmp fi..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5. 01:31

리눅스 sort - 파일내용 정렬

sort sort는 텍스트로 된 파일의 행단위 정렬을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특정 DB나 프로그램, 쉘 프로그램등의 입력값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직접 정렬 또는 편집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 : sort [옵션] 파일명 각 행의 첫번째 단어(필드)들의 첫번째 문자들을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첫번째 문자가 동일할 경우에는 동일한 첫번째 문자를 가진 행끼리 두번째 문자를 가지고 정렬한다. 오름차순 정렬 sort textfile 내림차순 정렬 sort -r textfile 지정한 두번째 필드(-k 옵션)를 기준으로 정렬 sort -k 2 textfile 중복된 내용을 하나로 취급하여 유일정렬 sort -u textfile 용량크기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 ls -l /var/log |..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22:49

리눅스 wc - 특정파일내에 존재하는 행수와 단어수 확인

wc wc는 특정파일의 바이트수, 단어수, 행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3 = 행수, 6=단어수, 65=바이트 wc /etc/resolv.conf 3 6 65 /etc/resolv.conf 가장 긴 행의 길이 확인 wc -L /etc/resolv.conf 여러 파일의 비교 wc test test2 디렉토리내의 파일들의 갯수 ls -Rl /etc | grep "^d" | wc -l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21:25

리눅스 touch - 파일생성 및 파일의 날짜정보 변경

touch touch는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즉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하면 서버의 현재시간으로 파일의 최근사용한 시간(access time)과 최근변경 시간(modification time)을 변경한다. 만약 특정옵션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파일의 크기가 0인 빈 파일을 생성한다. -t 라는 옵션을 사용하면 서버의 현재시간이 아닌 지정된 시간으로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변경한다. touch [옵션] 파일명 빈 파일 생성 touch newfile 현재시간으로 파일 날짜정보 변경 touch -c newfile 파일의 날짜정보를 마음대로 변경(YYYYMMDDhhmm 형식) touch -t 201306141200 newfile 지정한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지정한 다른 파일의 날짜시간정보와 동일하게..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20:35

리눅스 cut - 텍스트파일의 필요한 부분만 추출

cut cut은 특정파일의 각 필드들을 출력에서 제거하거나 원하는 필드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cut 명령어는 텍스트문서의 특정필드를 제거하여 편집하거나 원하는 입력폼으로 재생성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구분자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byte 단위로 지정됨을 원칙으로 하지만, 별도의 구분자(콜론, 세미콜론, 콤마, 마침표등)를 지정하였을 경우에는 지정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출력된다. 아래표를 보고 cut 명령어의 자릿수를 이해한다. -b 옵션은 특정 자리만을 출력할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형식 의미 예 N N 자릿수만을 의미 -b1, -b3 N,M,O N 자리와 M자리 O자리를 각각 의미 -b5,6,7,8,9 N- N 자리부터 마지막까지를 의미 -b10- N-M N 자리부터 M 자리까지를 ..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20:06

리눅스 파일의 용량 과다증식 과 대처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겪을 수 있는 한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파일 용량의 증식 시스템 관리를 하다보면 access_log라는 웹로그파일이나 /var/log/messages 파일 또는 /var/log/maillog 파일등 특정 로그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시스템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또는 파일시스템이 꽉차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대처 요령 1) find 나 ls 등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일정이상의 용량을 가진 파일을 찾는다. 2) 찾은 파일을 삭제하진 않고 용량만을 0 으로 만드는 작업을 한다. cat /dev/null > 파일명 메일로그를 0으로 만드는 예 cat /dev/null > /var/log/maillog /dev/null이라는 장치는 널디바이스, 즉 널장치파일을 의미..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9:50

리눅스 ln - 링크파일 생성

리눅스에서의 링크파일은 윈도우와 비슷하지만 두가지의 링크가 존재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ln ln은 Link 의 약어로서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링크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이다. 리눅스에서는 심볼릭링크와 하드링크의 두가지 링크 파일이 존재한다. 심볼릭링크 (Symbolic Link) 단순히 원본파일을 가리키도록 링크만 시켜둔 것으로 MS의 윈도우시스템에서 흔히 사용하는 '바로가기' 같은 것이며, 원본파일을 가리키고만 있으므로 원본파일의 크기와는 무관한다. 그리고 심볼릭링크에서는 원본파일이 삭제되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링크파일은 깜박거리면서 링크파일의 원본파일이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드링크 (Hard Link) 원본파일과 다른 이름으로 존재하는 동일한 파일이며 원본파일과 동일한 내용의 다른 파..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9:38

리눅스 file, type - 파일종류, 명령어종류 확인하기

리눅스 시스템을 터미널을 이용하여 사용하다보면 파일확장자 구분이 잘 안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GUI 모드에서는 아이콘등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한데 말이죠. 아래에선 그런 의문이 드는 파일들의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file file은 지정된 파일의 종류(타입)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file은 /usr/share/file 디렉토리의 magic 파일을 참조하여 파일종류를 표시해준다. 사용법 : file 파일명 file quotachk.sh quotachk.sh: Bourne-Again shell script text executable file index.html index.html: UTF-8 Unicode text [옵션] -C : 매직파일의 포맷을 검사하는 옵션 -f 목록파일..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9:15

리눅스 tr - 영문자의 대소문자 변환

tr은 번역이 아닌 치환의 의미를 갖습니다. tr tr은 translate 의 약어로서, 지정한 문자를 바꾸어주거나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즉 특정한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거나 또는 특정 문자를 제거하는 명령어이다. test 파일에 대소문자가 섞인 문자로 작성되었다 했을때(소문자 a~z 를 대문자 A~Z로 치환) cat test | tr '[a-z]' '[A-Z]' 파일내의 특정문자만을 삭제할때(마침표(.)를 삭제) cat test | tr -d .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7:36

리눅스 mv, rename - 파일명 변경

파일명 하나를, 혹은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법에 대하여 배워봅니다. mv mv는 move의 약자로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파일명을 변경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사용형식 : mv 파일명1 파일명2 파일명1을 파일명2로 파일명을 변경한다. 이는 cp 명령어와 rm 명령어가 연속으로 사용된 것과 같다. test 파일의 이름을 test2로 변경 mv test test2 만일 test2가 디렉토리명이라면 test파일이 test2 디렉토리로 이동되어진다. 파일이름뿐만 아니라 디렉토리명도 변경할 수 있다. nestgoer 디렉토리 자체를 goer 디렉토리로 옮김 mv /home/nestgoer/ /home/goer/ rename rename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파일명을 일괄 변경할때 사용하는..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7:19

리눅스 pwd, cd - 현재 작업위치와 작업위치 이동하기

리눅스에서 현재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pwd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 의 약어로서, 현재 어떤 디렉토리경로에 있는가를 절대경로로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현재 디렉토리를 확인해보자 pwd /root pwd를 매번 사용하지 않고 명령프롬프트에서 PS1 값을 수정함으로써 현재 디렉토리의 경로를 알수도 있다. cd cd는 Change Directory 의 약어로서 작업디렉토리의 위치를 바꾸는 명령어이다. 사용방법 의미 cd 또는 cd~ 자기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cd / 최상위 루트디렉토리(/)로 이동 cd .. 한 단계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cd - 바로전에 위치했던 디렉토리로 이동 cd /etc/sysconfig/ /etc/sysconfig/ 디렉토리로 이동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6:46

리눅스 rev - 한 행의 내용을 거꾸로 출력

문서를 읽는 방향이 나라마다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좌에서 우로 글을 쓰고 읽지만, 중동권에서는 우에서 좌로 글을 쓰고 읽습니다. 작성된 문서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해 rev를 알아둡시다. rev rev는 파일의 내용을 행단위로 거꾸로 출력한다. 일반적인 파일 cat test.txt 테스트 파일입니다. rev를 사용 rev test.txt 다니입일파 트스테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4. 16:10

리눅스 cat, more, less, head, tail - 파일내용 확인

리눅스에서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들을 살펴 봅니다. 각종 로그 파일을 살펴보거나 문서들을 살펴볼때 유용합니다. cat cat 명령어는 텍스트로 된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정상적으로 출력하지만 바이너리 파일일 경우에는 출력은 하지만 알아볼 수 없다. 그리고 2개 이상의 파일이름이 지정되면 모든 파일이 연결되어 보여진다. 사용법 : cat [옵션] 파일명 test 파일을 열어봄 cat test 각 행에 번호를 붙여서 출력 cat -b test 빈 행에도 번호를 붙임 cat -n test 연속되는 2개이상의 빈 행을 한행으로 출력 cat -s test more more 명령어는 특정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그 페이지에서 바로 vi 로 파일을 열어서 편집을 할 수도 있으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한 페이지씩 ..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3. 03:40

리눅스 mkdir - 새디렉토리 만들기

mkdir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어로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때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이다. mkdir은 umask 값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유념한다. umask 값은 /etc/bashrc 에 정의 되어 있다. mkdir [옵션] 생성할디렉토리 linux 디렉토리를 생성 mkdir linux 현재 존재하지 않은 디렉토리의 하위디렉토리까지 생성 상위디렉토리 경로를 포함하는 디렉토리를 생성) mkdir -p girls/tiffiny 특정 퍼미션을 가진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 umask 값을 무시하고 퍼미션을 설정 mkdir -m 644 linux touch 생성할 파일명 일반 파일을 생성할 때에는 touch 를 사용한다. touch test touch 자세히 보기

리눅스/Linux 일반 2013. 6. 13. 02:03
  • 이전
  • 1
  •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 30
  • 다음

사이드바

ABOUT

WEBDIR for Developer

NOTICE

  • 스킨 변경 및 배포
  • 리부트!! WEBDIR 개편 소식
  • 오픈!! WEBDIR 블로그 소개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AG

  • Linux
  • CentOS
  • ubuntu
  • server
  • jQuery
  • Editor
  • sublimetext
  • app
  • Plugin
  • Utility
  • CSS
  • element
  • Wordpress
  • property
  • JavaScript
  • html5
  • HTML
  • Command
  • Windows
  • polyfill
MORE+

LINK

  • 그렇고 그런 이야기
  • Life is an egg.
  • Codrops
  • Front-end Developer Ishaiin.

VISITOR

현재 실시간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WEBDIR, ALL RIGHT RESERVED.
WEBDIR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님의 블로그
MENU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