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WEBDIR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개발자모드 ON, 부스터 디자인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리눅스 PAM를 이용한 로그인 관리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패키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을 제어해 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특정 계정 로그인 허용 및 불허 로그인 정책 추가 sudo vi /etc/pam.d/login auth required pam_listfile.so item=user sense=allow file=/etc/loginuser onerr=succeed 특정 계정만 로그인을 불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ence=deny 로 변경, file=/etc/nologinuser로 변경 로그인 파일 생성 및 계정 추가 sudo vi /etc/loginuser root tiffiny su - 명령 사용자 제한 아래의 구문을 찾아 주석을 제거 sudo vi /etc/pam.d/su auth re..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7. 01:00

리눅스 profile, bashrc 와 login shell vs non-login shell 의 이해

로그인 쉘과 비로그인 쉘 그리고 그와 연관된 profile 과 bashrc 에 대한 내용 정리입니다. Shell 목록 보기 사용가능한 shell 목록 보기 cat /etc/shells /bin/sh /bin/bash /sbin/nologin /bin/dash 현재 사용중인 shell의 확인 echo $SHELL /bin/bash Login shell vs Non-login shell 로그인 shell은 사용자가 로그인 했을때 적용되는 shell을 의미한다(default bash). 로그인하여 bash가 처음 시작할때(login shell일때), 다음 스크립트 파일들을 수행하여 환경을 설정한다. /etc/profile ~/.bash_profile or ~/.bash_login or ~/.profile ~/..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7. 01:00

리눅스 strings - 실행파일, 바이너리파일에서 문자열 검색하기

바이너리 파일들은 작성된 내용들을 볼 수 없지만 부분적으로 문자 또는 숫자로 저장된 ASCII 문자들은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정된 파일의 종류 확인 file /etc/mail/virtusertable.db .co.kr 이라는 문자가 들어있는 행들만 확인 strings /etc/mail/virtusertable.db | grep .co.kr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20:55

리눅스 script - 시스템관리 작업내용을 모두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기

터미널에 표시되는 모든 내용들을 특정파일에 저장해 두었다가 추후 살펴볼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파일명 미지정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typescript 라는 파일에 저장된다. exit로 script를 종료한다. script ...(작업내용)... exit 파일명 지정 지정된 파일(uzuro.txt)에 저장한다. script uzuro.txt ...(작업내용)... exit 자동저장 .bashrc의 파일의 마지막에 추가한다 vi /home/사용자/.bashrc script /tmp/working_note.txt .bash_logout의 마지막에 추가한다. vi /home/사용자/.bash_logout exit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20:38

리눅스 Alias - 별칭 사용하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특정 문자로 입력해두고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command alias 라고도 합니다. .bashrc에 리눅스 설치시 몇개의 alias 가 자동 설정되어 있습니다. alias 설정 alias 리스트 출력 alias alias 해제 unalias lsd 모든 alias 해제 unalias -a alias 예제 ls 의 결과에서 디렉토리만 출력(재부팅하면 초기화되므로 .bashrc 에 맨 하단에 작성하여 저장하면 로그인할때 마다 적용된다) alias lsd='ls -l | grep "^d"' 설치된 패키지의 이름 : 설명 으로 출력 alias rpmdesc='rpm -qa --queryformat "%{NAME} : %{Summary}\n"' grep 를 이용해 특정 데몬에 대..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9:55

리눅스 history - 사용했던 명령어의 재사용

리눅스에서는 일정갯수(기본 1000)이상 사용했던 명령어를 특정 파일에 저장해두고 필요한 경우 다시 불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말이죠. 파일명 : .bash_history - 개별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에 존재 쉘변수중 $HISTSIZE가 그 값을 결정한다. echo $HISTSIZE history 사용법 사용법은 간단하다. history 숫자를 추가하면 최근에 사용했던 n개의 명령어만 출력(찾은 최근 명령어 가운데 !find 하면 지정한 문자열(find)로 시작하는 가장 최근 명령어 재실행) history 8 grep 명령어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열에 해당하는 명령어 리스트 출력(원하는 명령어 찾은 후 맨 앞의 명령어 숫자를 이용하여 !105와 같이 사용하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9:22

리눅스 PS1 - 쉘프롬프트 모양 변경하기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환경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별 시스템환경변수를 쉘변수라 한다. 쉘변들 가운데 PS1 이라는 쉘변수가 있는데 이 쉘변수는 우리가 사용하는 쉘변수의 모양을 결정한다. 쉘변수들을 확인하려면 env 라는 명령어를 실행해 보면된다. 현재 사용자의 쉘변수 확인하기 ehco 는 화면에 출력하라는 명령어 $PS1 은 쉘변수 echo $PS1 PS1 변수에 사용되는 기호들과 그 의미 쉘변수 기호 의미 \t 24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HH:MM:SS 로 표시 \T 12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HH:MM:SS 로 표시 \@ 12시간의 단위로 현재시각을 오전/오후 로 표시 \d 현재 날짜를 나타냄. 요일, 월, 일 형식으로 \s 현재 사용중인 쉘의 이름을 나타냄 (C쉘이면 /..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8:27

리눅스 로그인 공지사항 관리하기

리눅스 시스템에 로그인했을때,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메세지들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개성있는 로그인 공지사항들을 구글링하면 많이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아래의 그림도 그 중 하나의 예이죠. 로그인 공지사항 로그인시에 보여줄 메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파일 설정파일 설명 상태 /etc/issue 콘솔(로컬) 접속시도시 보여줄 메시지파일 로그인 전 /etc/issue.net 원격지에서 접속시도시 보여줄 메시지파일 로그인 전 /etc/motd 로컬접속, 원격접속 모두에 해당하며 로그인 성공 후 뵤여줄 메시지 파일 로그인 후 이를 이용하여 접속시도시에는 "불법적인 접근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라는 메세지들을 출력할 수 있고, 로그인 성공 후에는 각 사용자별 현재 디렉토리 사용량들이나 공지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6:22

리눅스 커널(kernel) 이해

커널이란?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각 장치들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커널이다. 컴퓨터가 부팅되면서 GRUB 과 같은 부트로더에 의해서 메모리로 로딩되어 컴퓨터가 꺼질 때까지 항상 메모리에 상주해서 컴퓨터의 각 장치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과 사용자들과 의사소통을 지속적으로 하게 된다. 아래는 커널의 설정파일 내용이다. kernel /boot... 부분이 부팅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cat /boot/grub/grub.conf default=0 timeout=5 splashimage=(hd0,0)/boot/grub/splash.xpm.gz hiddenmenu title CentOS (2.6.32-358.6.1.el6.x86_64) root (hd0,0) kernel /boot/vmlinuz-..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6:00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의 디렉토리 혹은 파일 시스템 구조는 윈도우와는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디렉토리를 구분하는 '/'(슬래시)는 리눅스에서 사용하고 윈도우는 반대인 '\'(역슬래시)를 사용하죠. 디렉토리 또한 그 명칭을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directory), 윈도우에서는 폴더(folder)라고 불리웁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명령어의 종류와 성격, 사용권한등에 따라 각각의 디렉토리들로 구분됩니다. 리눅스 배포판들은 '리눅스 파일시스템 표준' 인 FSSTND(LINUX FILE System Standard) 라는 표준을 준수하므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들은 그 기본 골격이 같습니다. /(루트) 최..

리눅스/Linux 일반 2013. 5. 16. 15:54

워드프레스 접속 주소 변경하기

워드프레스를 서브폴더를 이용해 설치했다면 접속주소가 http://도메인주소/wordpress 와 같을 것입니다. 간단히 도메인 주소만 입력하면 워드프레스에 접속할 수 있게 변경해 보도록 합시다. 고유주소 설정 워드프레스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한다. 로그인하면 알림판(dashborad) 화면으로 이동된다. 설정 > 고유주소로 이동하여 일반 설정에서 아무거나 변경 후에 저장한다. 저장한 후에 FTP에 접속해서 wordpress 폴더를 보면 .htaccess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index.php 파일과 .htaccess 파일을 복사해서 루트 디렉토리에 붙여 넣는다. index.php 수정 index.php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Loads the WordPress Environment and ..

워드프레스/WP 팁&테크 2013. 5. 3. 12:48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워드프레스를 직접 서버에 업로드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아래의 사이트에서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푼다. http://wordpress.org/ (영문 버전) http://ko.wordpress.org/ (한국어 버전) 업로드 압축을 풀면 wordpress라는 디렉토리를 발견할 수 있을텐데 이 폴더의 이름을 변경해야 한다. 이는 보안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FTP를 사용해서 계정에 업로드한다. (FTP 프로그램 - 파일질라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client) 디렉토리 구조는 아래와 같게 wordpress(폴더명은 변경 - 예제는 편의상 그대로 사용) └ wp-admin └ wp-content └ w..

워드프레스/WP 팁&테크 2013. 5. 3. 07:03

워드프레스 준비물 - DB 생성

워드프레스를 본격적으로 설치하기에 앞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유저의 생성,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준비사항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에 앞서 몇가지 준비사항이 있다. 자신이 사용하려는 APM(Apache,PHP,MySQL)의 버전 선택이 필요하다. 워드프레스의 플러그인중에는 PHP의 버전에 따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는 자체 웹서버를 구축하는 경우와 웹 호스팅 업체들을 이용할 경우로 나눌 수 있겠다. wordpress.com의 무료 블로깅 서비스는 다루지 않는다. 웹 호스팅 웹 호스팅 업체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입맛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텐데, PHP와 MySQL의 버전을 5.0 이상을 추천한다. 또 한 가능하다면 PHP는 5.3 이상을 추..

워드프레스/WP 팁&테크 2013. 5. 2. 14:22

워드프레스 소개

워드프레스를 처음 알게 되었을땐 관련 정보가 취약했었습니다. 그게 2년전 일이였는데 근래에는 관련 서적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고 웹서핑을 하다보면 워드프레스 관련 광고가 자주 눈에 띄이는 실정입니다. 국내에도 비슷한 CMS도구인 XE와 그누보드가 있지만 확장성과 오픈소스의 위대함을 따라오기엔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거대한 프로젝트 이기 때문이지요. 워드프레스 특징 무료 / 오픈소스 / 대규모 커뮤니티 지원 2만여개가 넘는 플러그인 손쉬운 업그레이드, 확장 관리 템플릿 시스템의 사용으로 수정/변경, 활용성이 높음 wordpress.org 와 wordpress.com에 대한 이해 워드프레스는 두 가지의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알아보자. word..

워드프레스/WP 팁&테크 2013. 5. 2. 13:56

[CentOS] 네임서버(DNS) bind 설정

현재 이 글 보다 더욱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 DNS서버(네임서버) 설치를 새로 작성되었습니다. 센토스에서 네임서버를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설치환경 : CentOS 6.4 minimal / bind-9.8.2 필요요소 : Bind 패키지, 도메인주소(예: uzuro.com) 설정포트 : tcp 53 / udp 53 네임서버 설정 유의사항 최근의 Bind 패키지에는 Chroot가 포함되기에 설정이 필요 네임서버 동기화 시간이 필요 생성,수정한 파일의 소유권이전 확인 1. 도메인 등록 도메인을 구입하고, 구입한 곳에서 호스트 등록을 완료합니다. 2. Bind 패키지 설치 필자는 CentOS를 최소버전으로 설치했기에 Bind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yum -y install bind-* rp..

기존 작성물 2013. 4. 13. 03:41
  • 이전
  • 1
  • ···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다음

사이드바

ABOUT

WEBDIR for Developer

NOTICE

  • 스킨 변경 및 배포
  • 리부트!! WEBDIR 개편 소식
  • 오픈!! WEBDIR 블로그 소개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AG

  • sublimetext
  • CSS
  • Linux
  • CentOS
  • server
  • JavaScript
  • Command
  • ubuntu
  • HTML
  • app
  • Windows
  • Editor
  • property
  • Wordpress
  • element
  • jQuery
  • Plugin
  • polyfill
  • html5
  • Utility
MORE+

LINK

  • 그렇고 그런 이야기
  • Life is an egg.
  • Codrops
  • Front-end Developer Ishaiin.

VISITOR

현재 실시간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WEBDIR, ALL RIGHT RESERVED.
WEBDIR
블로그 이미지 흉내쟁이 님의 블로그
MENU
  • 홈으로
  • 블로그소개
  • 카테고리
  • 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438)
    • 윈도우즈 (68)
      • Windows 일반 (49)
      • Windows 10 (11)
      • WSL (8)
    • 리눅스 (135)
      • Linux 일반 (63)
      • CentOS (26)
      • Ubuntu (46)
    • 네트워크 (8)
    • 웹코딩 (125)
      • HTML (43)
      • CSS (41)
      • Javascript (14)
      • PHP (5)
      • MySQL (0)
      • App,Plugin (22)
    • 웹개발론 (31)
      • 웹표준, 접근성 (6)
      • 크로스브라우징 (24)
      • 반응형웹디자인 (1)
    • 프레임워크 (6)
      • 보일러플레이트 (6)
      • 부트스트랩 (0)
    • 그누보드 (4)
      • GNU 자습서 (2)
      • GNU 팁 (2)
    • 워드프레스 (13)
      • WP 팁&테크 (9)
      • WP 플러그인 (3)
      • WP 변경이력 (1)
    • 티스토리 (10)
      • 블로그가이드 (0)
      • 스킨가이드 (8)
      • 스킨배포 (2)
    • 개발도구 (33)
      • XAMPP (6)
      • 서브라임텍스트 (15)
      • 에디터 (2)
      • 크롬, 개발자도구 (6)
      • Git (1)
      • Hyper-V (0)
      • Docker (0)
      • 가상머신 (1)
    • 기존 작성물 (5)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