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가상호스트 설정 아래의 내용은 웹호스팅을 위한 가상호스트 설정은 아닙니다. 그저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웹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이며 웹호스팅을 위해서는 디렉토리 권한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가상호스트 구조 가상호스트를 위한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 웹루트 : /var/www/도메인명/public_html 웹로그 : /var/www/도메인명/logs 가상호스트 설정 : /usr/local/nginx/sites-enabled/도메인명.conf 가상호스트 디렉토리 생성 가상호스트 사용을 위한 웹루트 디렉토리들을 생성한다. sudo mkdir -p /var/www/example.com/public_html sudo mkdir /var/www/example.com/logs 생성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 sudo chown -R ww.. 리눅스/Ubuntu 12년 전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VirtualHost 예제 - 가상호스트 우분투 Apache의 VirtualHost(가상호스트)의 일례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DigitalOcean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몇가지 살을 붙여 작성하였습니다. VirtualHost(가상호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세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NameVirtualHost (이름기반 가상호스트)를 많이 사용한다. 우분투에서도 기본값으로 이름기반 가상호스트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다. 이름기반 가상호스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주호스트가 사라지게 되는데 우분투의 아파치 설정파일인 /etc/apache2/apache2.conf에 ServerName이나 DocumentRoot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이유가 이때문이다. 이름기반 호스트를 사용하게 되면 가장 첫번째로 등장하는 가상호스트설정을 주호스트로 인식하게.. 리눅스/Ubuntu 12년 전